Skip to content

지식공유연대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단체와 연구자 연대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단체와 연구자 연대

  • 소개
    • 소개 및 함께하는 사람들
    • 학술 단체 및 연구자 연대 선언
    • 회칙
  • 활동
    • 공지
    • 활동소식
    • 뉴스레터
  • 아카이브
    • 자료실
    • 언론보도
    • FAQ
  • 참여하기
지식공유연대

뉴스레터 7호

뉴스레터

{preheader}
Logo
2024.8.21.
‌
‌

‌

7호를 내며

본 메일은 ‘새로운 학문생산체제와 지식공유를 위한 학술단체와 연구자 연대’(이하 지식공유연대)가 2024년 8월 21일 발행한 7호 뉴스레터입니다. 우리에게 ‘학회’는 어떤 의미를 갖을까요? 연구자 대부분이 1-2개 이상의 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고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 게재하실 것입니다. 이런 기능 이외에도 학회가 여러분께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 감히 여쭤봐도 될까요? 이에 대한 대답은 연구자마다 다를 것이고 학회에 기대하는 바도 다양할 것이며 아쉬운 점이나 바라는 점도 분명히 있으실 것입니다.
더 읽기
‌
‌

‌
‌

‌

회원 인터뷰3 (이혜령 집행위원)

‌ 이혜령 선생님 사진
‌
인터뷰일시 : 2024년 6월 6일(목) 오후 8:00 ~ 9:30 장소 : 줌 온라인 진행자: 선생님께서는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 단체 및 연구자 연대(지공연)의 설립부터 현재까지 지공연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십니다. 먼저 선생님께서 지공연에 참여하시게 된 계기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공연의 그간 활동 중 선생님께 특히 더 기억에 남는 일이 있다면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더 읽기
‌
‌
‌
‌

‌

2024 상반기 심포지움 발표자료와 토론자료

1 ‌
‌
지식공유연대는 지난 2월 23일 상반기 심포지움 “공통장으로서의 학술장: 학술지의 OA 전환과 K-학술지 전망”을 학술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개최했습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국내외 지식공유와 학술교류의 난제를 OA 차원에서 되짚어 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OA 전환 비즈니스 모델 정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기존의 정형화된 학회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연구자 모임과 교류의 가능성을 드러낸 제1회 한국현대문학자대회 개최 관련 논의를 통해, 공통장으로서의 학술장이 불가능한 미래가 아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
‌
‌

‌
‌

‌

부실학술지 논란 해외 학술출판사 한국 진출

‌ Photo by Jess Bailey Designs
‌
국가나 지역마다 학술지 발행 방식과 문화에 차이가 있겠지만, 미국과 유럽 지역은 상업출판사와 구독 모델 판매 유통사를 중심으로 학술지를 발행해 왔습니다. 즉, 해외 저자가 논문을 출판하기 위해서는 저작권을 상업출판사에 양도하고 이를 독점한 출판사는 구독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논문을 판매하거나 유통하여 막대한 이익을 취해 왔습니다. 이렇게 철저히 이윤추구에 충실한 해외 학술 출판 시장은 최근 대세가 된 오픈액세스 출판 방식으로 전환하면서도 본래의 성격을 버리지 못하고 도리어 상업성에 더 매몰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더 읽기
‌
‌

‌
‌

‌

2024 하반기 심포지움 소개

‌
‌

202408_지공연_심포지움_포스터
‌

‌
‌
Share this on Facebook
‌
지식공유연대에 {email}로 가입 하셨기 때문에 이 이메일을 받으셨습니다. 만약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unsub}를 눌러주십시오.
{webversion} – {unsub} – {profile}
Logo
© {year} 지식공유연대, All rights reserved.
‌

♥389 뉴스레터

글 탐색

이전 이전 글: 지식공유연대 2024 연례 심포지움 및 총회
다음 다음 글: 뉴스레터 8호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단체와 연구자 연대
knowcommon@gmail.com
지식공유연대 페이스북지식공유연대 RSS
  •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