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공제회"가 무엇인지 처음 들어보는 연구자를 위해 준비된 특별 강연입니다! 연구안전망을 고민했던 연구자권리선언에 이어서, 상호부조와 자율성에 기반한 조직인 연구자공제회가 출범을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가 서로의 안...
2개월 전"공제회"가 무엇인지 처음 들어보는 연구자를 위해 준비된 특별 강연입니다! 연구안전망을 고민했던 연구자권리선언에 이어서, 상호부조와 자율성에 기반한 조직인 연구자공제회가 출범을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가 서로의 안...
2개월 전연구자를 위한 공제가 왜 필요해? 궁금증을 풀어줄 1타 강사 출동!"공제회"가 무엇인지 처음 들어보는 연구자를 위해 준비된 특별 강연입니다! 연구안전망을 고민했던 연구자권리선언에 이어서, 상호부조와 자율성에 기반한 조....
2개월 전지난 6월 19일에 진행된 연구자공제회 특별강연에서 진행된 질의응답 세션의 영상입니다. 연구안전망을 고민했던 연구자권리선언에 이어서, 상호부조와 자율성에 기반한 조직인 연구자공제회가 출범을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
2개월 전대학과 고등교육이 무너진 지금, 연구자의 현실은 어떠한가요? 대학에는 신자유주의가 만연하고 인기있는 연구주제에만 연구비가 몰리는 자본주의의 횡포가 연구시장에도 만연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연구공간은 여전히 봉.....
4개월 전- 연구자공제회 추진 기념 특강 연구자를 위한 공제가 왜 필요해?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1타 강사 출동! 1강 연구자의 삶과 공제회의 필요성 강사 : 이미애 (제주대학교 학술연구교수) 2강 호혜성으로 보는 공제회의 가능성 강사 : 한영섭 (노동공제학습원 부원장) 일시 : 2025년 6월 19일(목) 저녁 7시 대상 : 연구자공제회에 관심 있는 누구나! 장소 : 연구자의집 R커먼즈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7안길 18, 2층 비용 : 무료 접수 : https://bit.ly/연구자공제회특강 문의 : (사) 지식공유 연구자의 집 scholarscommons.korea@gmail.com
연구자공제회 출범을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고자 합니다. 그 첫번째 행사로 기념 특강을 진행합니다. 오는 6월 19일(목) 오후 7시에 연구자의집 알커먼즈에서 특강이 있습니다. 연구자의 복지와 권리 증진, 연구안전망 확충에 많은 분들의 관심과 지지, 그리고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4개월 전연구자의집 회원 인터뷰13 (박서현 운영위원) 활동소식 연구자의집과 미디어팀에서의 활동 질문1 ‘지식공유 연구자의집’(연집)은 “대학 안과 바깥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유연하게 연대할 수 있는 수평...
5개월 전- 지식공유연대 https://doi.org/10.25024/ksq.48.1.202503.107
📚 [학술지 소식]
<한국학> 2025년 봄호에 2024년 8월에 개최된 지식공유연대 2024 연례 심포지움 2부 내용이 수록되었습니다!
분업과 연대, 학술 공공성의 새로운 형식들: 한국현대문학 편집인의 열린 대화를 주제로 한 심포지움에서 나눈 생생한 대화와 논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댓글의 링크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6개월 전- 지식공유연대 https://knowledgecommoning.org/newsletter/%eb%89%b4%ec%8a%a4%eb%a0%88%ed%84%b0-8%ed%98%b8/
지식공유연대 <뉴스레터 8호>가 나왔습니다.
8호 서문, 공동회장 김병준 교수의 인터뷰, 생성형 AI 이후 인문학 연구(자)의 변화와 전망, 그리고 작년 8월 심포지엄 발표자료와 좌담회 <분업과 연대, 학술 공공성의 새로운 형식들: 한국현대문학 편집인의 열린 대화>가 실렸습니다.
댓글에 링크가 있습니다.
9개월 전‘학회’란 연구자에게 어떤 의미일까? 연구자라면 으레 1~2개 이상의 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고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게재한다. 이런 기능 이외...
1년 전